본문 바로가기
지식 & 꿀팁정보

국민연금 예상수령액 확인 하는법

by @@$$**!!@##%$@#@#$ 2020. 7. 28.

국민연금 가입 & 필요한 시점은?

우선 국민연금은 보통 사회초년생으로 회사에 취직을 하게 되면 그때부터 국민연금을 가입하여 매달 개인 4.5% 와 고용주 4.5% 총 9%를 국민연금으로 넣고 계시는 것은 다알고 계실거라고 생각이 듭니다.

국민연금 가입자로 총 ( 사업장가입자, 지역가입자, 임의가입자, 임의계속가입자 ) 분류 됩니다.

사업장가입자 : 국민연금에 가입이 되어있는 1인이상의 근로자 사업장에 18 ~ 60세미만 근로자로 가입된자

지역가입자 : 사업장가입자가 아닌 18~ 60세미만 인자 (지역가입자에 가입이 불가한 예외적인 경우도 있습니다.)

 

사람이 살아가면서 돈이 더 필요한시기는 60대 이후로 생각이 듭니다.

본인이 직업에 따라서 돈이 훨씬 많이 들어가는 경우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젊은 시절에 몸을 쓰는 직업군을 가지고 있으면 아무래도 허리부분 관절부분등에 이상이 오는 경우가 대부분인것 같습니다.

저의 부모님만 하여도 젊은시절에 몸을 쓰는 일을 하셔서 그런지 60세 이후에 몸에 통증과 이상이 나타나 병원을 수시로 다니게 되었고 몸을 덜쓰는 사람에 비해서 병원비 지출이 늘어나고 무릎연골이 다닳아 연골수술까지 하면서 병원비의 지출이 더 늘어나 세월이 지나 나이가 먹어갈수록 국민연금에 대한 소중한을 느끼고 있습니다.

국민연금 예상수령액 확인하는 법

 

포털사이트에서 국민연금 검색을 하시고요.

국민연금 홈페이지에서 전자민원에 마우스를 가져가면 개인민원을 눌러주세요.

국민연금 예상수령액을 알아보기에는 로그인을 하셔야 하는데 공인인증서, 카카오페이 로그인으로 사이트를 이용하실수 있습니다.

로그인을 하시고 나면 주요서비스 부분에서 국민연금 예상액 부분을 또한번 눌러주세요.

재물설계 → 국민연금알아보기 → 예상연금조회 에서도 똑같이 국민연금 예상수령액 을 확인하실수 있습니다.

예산연금 모의계산 ( 재무설계 → 국민연금알아보기 → 예산연금모의계산 )

예산연금 모의계산을 통해서 예산연금을 알아보실때는 인증과정이 전혀 없다고 하니 이것으로 알아보셔도 될것 같으나 제가 보기에는 입력할 정보가 많아서 잘알지 못할때는 사용을 하지 않고 로그인을 통해서 국민연금 예상수령액 을 알아보시는것이 더욱 간편하다고 생각합니다.

 

국민연금 예상수령액을 왜 확인해야하나고 물으신다면?

내노후를 위해서 국민연금 수령액을 미리 꼭 확인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1969년생 이후 출생자부터 만65세 부터 국민연금 수령이 가능하다고 하는데 정년까지 회사를 다닌다는 보장없는 상황에서 금전적으로 여유가 되시는 분들이라면 미리 개인연금을 넣어서 연금을 지급 받을수 있도록 하는것이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012345

요즘 인생을 살아가는 연령이 높아지면서 국민연금 예상수령액 이나 모의계산을 통해서 내노후를 체크해볼수 있으며 노후 관리를 통해  건강과 여행, 취미를 가질수 있는 노후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

댓글